Code states/Project

4주 Project - Typescript

Typescript 자바스크립트의 Superset격인 친구다.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바스크립트가 가진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보면 된다. 주 기능으로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바스크립트에 타입을 도입한 것이다. 타입스크립트는 변수를 정해야 할 때 변수 값에 데이터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코드가 좀 더 예측 가능해지며 디버깅이 쉬워진다는 장점이 있다. function add (a, b) { return a + b; } console.log(add("1", "3")); 만약 위와 같은 코드가 있다면, 우리가 원래 add라는 함수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아마도 숫자끼리의 덧셈결과였을 것이다. 하지만 파라미터에 있는 1과 3이 문자열이..

2021.02.22 게시됨

Codestates 2주 Project 회고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Code states/Project

Codestates 2주 Project 회고

Immersive Course 과정을 진행하면서 블로그에 대해 꽤나 잊고 지냈었는데, 그 동안 많은 스프린트를 거치면서 정말 한 번도 쉬운 적은 없었지만 결국 돌이켜보면 모두 무난하게 수행하였고, HA를 봤을 때도 무난무난하게 금방 풀어서 통과를 했기 때문에 project 단계까지 올 수 있었다. 프론트엔드 쪽으로는 뒷부분 React부터 시작해서 React hooks, Redux 등과 백엔드 쪽으로는 express를 이용한 서버를 기반으로 https 서버를 만들고, mysql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것부터, Sequelize라는 ORM을 이용하는것 까지 정말 다양한 것을 배웠는데 정말 그 때는 뭐하나 쉬운게 없었기 때문에 스프린트 당시에는 어느 정도 잘 이해하고 넘어갔어도 정말 실전이라고 생각되..

2021.02.15 게시됨

Code states/TIL

20.12.15

n-queens과제를 최대한 할 수 있는데까지 노력해보았다. 스스로 식을 만들어 본 것이 결국 될랑말랑하다가 실패하였기 때문에 다른 블로그의 레퍼런스를 보고 코드를 해석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것마저도 정말 어려운 과정이였지만 끝까지 놓지 않고 해석에 성공해내었고 정말 멘탈이 많이 힘든 시간이였다... 그러나 원래 의도적으로 난이도를 높게 하였고, 못해도 정상이라고 하니 낙담하기보다는 해석에 성공한 것에 어느정도 의의를 둔다.

2020.12.15 게시됨

Code states/TIL

20.12.14

N-queens 스프린트를 오늘~내일 진행하게 되었다. 오늘은 처음으로 2개의 페어가 한 팀이 되어 팀플레이를 하도록 되어있었는데, 각자 팀별로 전략을 짜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너무 뛰어난 분들이 많다고 느꼈고, 상대적으로 내가 초라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물론 상대적으로 내가 열심히 하지 않은 부분도 있겠지만 근본적으로 나랑은 뭔가 다른 사람들도 많은 것 같았다. 그보다 사실 더 신경이 쓰였던건 팀플레이였는데, 나는 개인적으로는 선행학습을 하게 되면 페어플레이시, 상대방의 생각할 기회나 함께 삽질하는 시간을 없애는 행위가 될까봐 그냥 주어진만큼만 하는 편이였다면 오늘 팀으로 만난 상대 페어분들은 프리코스때부터 지금까지 둘이서 연락을 개인적으로 하면서 같이 공부하시던 분들이라 ..

2020.12.14 게시됨

Code states/TIL

20.12.11

Subclass Dance Party 스프린트를 진행하였다. 난이도가 꽤 높은 과제였기 때문에 하는게 쉽지 않았다. 그렇지만 작품을 만드는 재미가 확실히 있었기에 주말에 내 맘대로 더 꾸며볼 예정이다. Toy problem의 첫문제를 풀어보았다. 1번문제부터 예사롭지 않았는데 앞으로 매일 정규시간에 1문제씩 풀게 될 예정이므로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두뇌회전이 잘 될것 같다. (많이 어려울 것 같다...)

2020.12.12 게시됨

20.12.09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Code states/TIL

20.12.09

프로그래밍 언어는 개발을 도와주는 툴이다. 그리고 그 언어에는 3가지 종류가 있다. Machine Languages(머신어) 0과 1로 조합된 것,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 하지만 사람이 알아듣긴 힘들것이다. Assembly Languages(어셈블리어) 자바스크립트로치면 var, function, operator 등의 예약어가 굉장히 많은데 어셈블리어가 이런 일을 하는 언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지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옛날에는 어셈블리어로 코딩을 했다. High-Level Languages(고급어) 그래서 어셈블리어를 통해 함수 등을 만들고 그것들을 사용할 수 있게끔 만든 것이 지금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고급어이다. 영어랑 문법이 비슷하다. Interpreter라는 ..

2020.12.09 게시됨

Code states/TIL

20.12.08

Time complexity(시간 복잡도)에 대해 배웠다. 각 자료구조별 추가, 삭제, 삽입 등의 상황과 알고리즘 문제 등의 상황에 맞추어 각각 얼마만큼의 Big-o notation 수치를 갖는지에 대해 강의로 배우고, 실제로 문제를 풀어가면서 더욱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시간복잡도를 그래프로 확인할수 있는 사이트: https://www.desmos.com/calculator/uivk0ucukd?lang=ko 같은 것도 알려주셨는데 이 사이트를 통해서 그래프를 직관적으로 확인해보면 이해하는데 훨씬 수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자료구조 과제를 진행하면서 정말 많은 생각의 발전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완벽하진 않아도 그것을 어떻게든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었던 것에 자신에게 칭찬을 하고 싶다.

2020.12.08 게시됨

Code states/TIL

20.12.07

Graph, Tree, BinarySearchTree(BST)에 대해 배우고 이를 구현해 보는 과제를 진행하였다. 저번 Hash를 배울 때도 만만치 않았지만 오늘 과제 또한 만만치 않아서 처음엔 굉장히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도 이 과제를 해냄으로 인해서 사고가 보다 넓어진 느낌이고 this와 new생성자에 대해 더 깨달은 부분이 있어서 충분한 수확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2020.12.07 게시됨